728x90

동명사의 사건 사이의 시간 순서 (동명사 끼리 시간 순서)




여러 개의 동명사가 사용될 때, 동명사 사이의 시간 상의 순서가 생길 때가 있다. 아래 예문을 통해 경험해보자.




(예문) Upon seeing Susan's clothing and knowing she was from countryside, many of students started poking fun at her.

(해석) 그녀의 옷을 본 후 그녀가 시골에서 온 것을 알자, 학생들 중 많은 애들은 그녀를 웃음 거리로 만들기 시작하였다.

(분석) 여기서 시간 상 사건의 순서는 See -> know -> start poking / poke fun at N : N을 웃음거리로 만들다(N을 놀리다)

Posted by 영어공부합시다 :
728x90

● 명사(N) has it that절 (have it that절)





1. 명사가 주로 report, rumor, legend, new가 사용되어




2. 명사가 가지고 있다(have, has)  +  it(비인칭)  +  that절(=it, 동격)

 = 명사가 that절의  상황을 가지고 있다.




3. 여기서 명사(report, rumor, legend, new, ...)가 that절의 상황을 가지고 있다가 되므로

 결국 명사에 따라 해석은






4. 해석

report가 that절(보고내용)을 알리다

rumor가 that절(루머내용)을 전하다

legend가 that절(전설내용)을 전승하다

new가 that절(보도내용)을 보도하다

등등... 이 된다.





(예문) the legend has it that he discovered coffee bean.

(해석) 그 전설은 그가 커피콩을 발견했다고 전승한다.




(예문) Rumors have it that Jane and Tom were in London together.

(해석) 루머는 제인과 탐이 함께 런던에 있었다고 전한다




5. 관련어법

<동격구문> ←클릭하여 이동

Posted by 영어공부합시다 :
728x90

V해야 한다 must V 와 should V 와 have to V 와 be supposed to V 와 you'd better V 와 ought to V 의 차이 분석




 비슷해 보이지만, 어떤 것을 써야할지 모호한 "V해야한다"의 여러 표현의들이 있습니다. 이들의 차이를 간단히 요약해드리니, 학습에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must V

죽어도 V해야 한다.

가장 강력

회화에서 사용하는 경우 별로 없음





you'd better V

V하는 게 좋을껄?

강력히 압박을 주는 발언

회화에서 사용하는 경우 별로 없음





should V

V하는게 진짜 좋겠어

강추





have to V

(그냥) V하는게 좋겠다

회화 시 가장 편하게 쓸 수 있는 표현





be supposed to V

V하는 걸로 예정되어 있네 (그래서 의역이 V해야한다네~가 됨)






ought to V

(도덕적으로) V하는 게 옳아 (그래서 의역이 V해야해~가 됨)






(결론1) 회화 시 골아프게 고민하지말고 have to V로 고고~!!!

(진짜 친한 원어민 친구 생겨서 다른 표현쓸 수 있는 상황이 되셨다면, 이 글을 읽고 있을 이유가 없음)




(결론2) 글을 쓰는 경우 도덕성 강조 ought to V, 의무 사항은 must, 계획 알려주는 듯하게 해야함을 전할 때는 be supposed V, 글을 쓸 때도 역시 잘 모르겠으면 have to V

Posted by 영어공부합시다 :